본문 바로가기

UXUI5

리뷰 요약부터 취향 추천까지, AI가 바꾸는 쇼핑 경험 (ft. 네이버스토어/다이소/무신사 앱) AI의 발전 속도가 무서울 정도로 빠릅니다.이제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형 AI’를 넘어, 겉보기에는 무관해 보였던 다양한 산업과 서비스에서도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추세가 보이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우리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쇼핑몰 앱은 어떨까요?아직은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곳이 많지는 않지만, 명시적으로 ‘AI’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세 곳이 있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1. 네이버스토어 - 리뷰 요약 키워드2. 다이소 - 다른 유저의 구매 행동 요약3. 무신사 - 유사한 스타일 x 나의 취향을 고려한 상품 추천 1. 네이버스토어(N+스토어) : 리뷰 요약 키워드네이버 스토어 앱에는 리뷰 상단에 ‘AI 리뷰 요약’ 기능이 새롭게 도입되었습니다. 이 기능은 사용.. 2025. 7. 31.
[UX스터디] 만보기 UI는 어떻게 만들까? (ft. 토스/카카오) 걷기만 해도 포인트를 주는 고마운 만보기!요즘엔 토스나 카카오 같은 앱에서도 만보기 기능이 기본이죠. 매일 아무 생각 없이 사용하는 기능이지만, 그 안에도 나름의 구조와 기획 의도가 숨어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오늘은 만보기 UI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샅샅이 파헤쳐 보겠습니다.목차1. 만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2. 만보기를 이루는 정보 : 기본/부가/통계 정보3. 광고 연계만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토스, 카카오 같은 대형 플랫폼 기업들은 왜 수익도 나지 않는, 오히려 고객에게 돈을 줘야 하는 만보기 서비스를 제공할까요?표면적으로는 기업이 손해를 보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꽤 야심찬 전략이 숨어있습니다.만보기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매일 우리 앱을 사용해야 할 이유가 생깁니다. 저만해도 거의 매일 .. 2025. 4. 15.
[UX 스터디] 텍스트 입력 필드에서 에러 메시지 표시하기 안녕하세요, 여러분!오늘은 텍스트 필드에 입력한 값의 유효성 검증 시점과 그 결과에 따라 어떤 피드백을 줄 것인지 자세히 살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텍스트 필드란?텍스트 필드는 사용자가 이름, 이메일, 주소 등 텍스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UI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입력 전, 입력 중, 입력 후의 상태를 갖고 있으며, 각 상태에 따라 시각적 표현이 달라집니다.유효성 검증이란?입력 필드 유효성 검증은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규칙에 맞는지 확인하는 기능입니다. 유효성 검사를 통해 잘못된 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하게 하고,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습니다. 텍스트 필드의 상태 정의먼저 텍스트 입력 필드의 상태에 대한 정의부터 해보겠습니다.1. Enabled (Default) : .. 2025. 4. 10.
[UX 스터디] 다양한 방식을 고려한 로그인 UI를 만들어보자 (소셜/계정/이메일) 로그인 화면은 우리 서비스가 사용자와 처음 만나는 관문입니다.이 단순한 화면이 서비스의 첫인상을 결정하고, 나아가 사용자와의 관계를 좌우하죠.로그인이 복잡하면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고, 첫 만남에서부터 부정적인 인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반대로, 로그인이 지나치게 간편하면 보안에 대한 신뢰가 흔들릴 수도 있습니다.그렇다면, “안전하면서도 쉽고 간편한 로그인 경험”을 제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오늘은 로그인 화면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와 레퍼런스를 살펴보고, 로그인 UI를 재구성해보겠습니다.🔐 로그인 화면의 구성 요소로그인 화면은 다음과 같은 세부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방식 ID(휴대폰번호/이메일)/PW 제공 시 → 입력 필드 소셜 로그인 제공 시 → 아이콘이 표기된 버튼.. 2025. 2. 18.
국내외 UX/UI 가이드라인 or 디자인 시스템 참고 사이트 여러분은 UX/UI 디자인을 하시다가 문득, 이런 궁금증이 드신 적 없으신가요? "이렇게 하는 게 맞나?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했지? 정답이 있는걸까?" UX/UI 디자인에서 '정답'이라고 콕집어 말할 수 있는 것은 없지만, 여러 전문가들이 모여 정리한 가이드라인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디자인을 하다 미로에 빠졌을 때, 벽에 부딪혔을 때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북극성처럼 길을 잡을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다른 부서(기획, 개발, QA 등) 사람들이 "이렇게 디자인한 근거가 뭐야?" 물어봤을 때 당당하게 대답할 수 있는 근거가 되어주기도 하죠. 이번 포스트에서는 여러분의 UX/UI 디자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국내외의 대표적인 UX/UI 가이드라인 웹사이트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플랫폼 제공자 기반 가.. 2024. 11.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