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와 함께 춤을

생성형 AI ChatGPT와 Gemini로 포스터를 만들어 보자

by WORKFORME 2025. 9. 15.

AI 이미지 생성 도구가 점점 고도화되면서, 이제는 단순한 그림 생성뿐 아니라 레퍼런스를 참고하여 포스터 제작, 이미지 합성, 광고 카피 삽입까지 가능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오픈AI의 ChatGPT와 구글 Gemini의 실제 사례를 통해 두 모델의 이미지 생성 기능 차이를 비교해보았습니다.


1️⃣ 테스트 시나리오


일단 각 시나리오별 두 개의 레퍼런스 이미지를 준비하구요, 다음과 같은 3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했습니다.

  1. 커피 마시는 여성 이미지를 포스터 스타일로 만들기
  2. 포스터 속 여성을 다른 인물로 바꾸기
  3. 이미지 속 여성이 헤드폰을 착용한 모습으로 만들기


그럼 하나씩 차례대로 보시겠습니다.


2️⃣  ChatGPT vs. Gemini

 

(1) 포스터 스타일 만들기

레퍼런스 이미지 (출처 : Smithsonian Open Access)

 

왼쪽의 커피마시는 여성 이미지를 활용해서, 오른쪽의 빈티지 포스터처럼 만들어달라고 요청해 보겠습니다.

프롬프트 : 첫번째 여성 이미지(커피 마시는)를 활용해서 두번째 포스터 스타일로 만들어줘

 

ChatGPT Gemini

포스터 만들기 결과

 

차이점이 보이시나요?

  • (좌) ChatGPT는 문구와 이미지 재조정해서 이미지에 색감까지 추가했습니다 → 창의적으로 재해석하는 경향이 드러나네요.
  • (우) Gemini는 포스터의 텍스트가 일부 변경되긴 했지만, 커피 마시는 여성 이미지는 원본에 충실합니다 → 재해석보다는 요청에 맞게 최소한으로 편집하는 수준입니다.

 

 

 

(2) 인물 교체

레퍼런스 이미지 (출처 : Google/Smithsonian Open Access)

이번에는 오른쪽 포스터 속의 인물을 앤 해서웨이로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롬프트 : 두번째 포스터 안의 여성을 첫번째 이미지 안의 여성의 외모/드레스를 반영해서 바꿔줘

 

ChatGPT Gemini

인물 변경 결과

  • ChatGPT는 앤해서웨이의 드레스와 헤어스타일만 가져오고 얼굴은 다른 사람으로 바꿔버렸네요. 대신 첫번째 이미지가 앤 해서웨이임을 인식하고 포스터 문구를 바꾸어 주었습니다. 
  • Gemini는 앤 해서웨이 이미지를 거의 그대로 유지, 배경만 제거한 합성 수준에서 마무리했습니다. 포스터 문구도 원본과 동일하구요.

 

 

 

 

(3) 헤드폰  착용

레퍼런스 이미지 (출처 : SONY/Smithsonian Open Access)

마지막으로 오른쪽 포스터의 인물에게 SONY 헤드폰을 착용시켜보겠습니다.

프롬프트 : 두번째 이미지의 여성이 첫번째 이미지의 헤드폰을 끼고 있는 모습으로 만들어줘 (문구는 헤드폰 광고 카피)

 

ChatGPT Gemini

  • ChatGPT는 새로운 포스터를 만들고 카피 문구까지 넣어줬습니다. 문구는 다소 평이하네요. 다만 헤드폰 이미지에서 브랜드(SONY)를 인식해 로고까지 넣어준 점이 놀랍습니다.
  • Gemini는 역시 합성 수준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원본에 충실하면서도 헤드폰이 자연스럽게 적용되었어요. 단, 광고 카피를 넣어달라는 요청은 수행하지 못했네요.

 


3️⃣ 결론

ChatGPT는 기존 이미지를 재해석하고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데 강점이 있습니다. 창의적 결과물이 필요할 때 유용할 것 같아요.

반면 Gemini는 원본 이미지에 충실해 단순한 합성 느낌의 결과물을 제공합니다. 정확한 복원과 충실도를 중시하는 작업에서 유리합니다. 속도도 Gemini가 더 빠른 편인데 아마 GPT보다 더 단순한 처리 과정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정리하자면,

  • 새로운 아이디어와 창의적인 결과물을 원한다면 → ChatGPT
  • 원본 충실도와 빠른 합성이 필요하다면 → Gemini

요렇게 취사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툴을 더 선호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

 

그럼 오늘도, 나를 위해 일하는 하루 되세요!



728x90
반응형